시엠립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엠립 국제공항은 1932년 프랑스의 계획 하에 건설되어 2023년 시엠립 앙코르 국제공항이 개항하기 전까지 운영된 캄보디아 시엠립의 옛 국제공항이다. 1998년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으며, 2005년 새로운 국제선 터미널 개장, 2006년 현대식 터미널 개장을 통해 시설을 확장했다. 앙코르 유적군 인근에 위치하여 여객기 소음과 진동이 유적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고, 2010년 신공항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 2023년 시엠립 앙코르 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폐쇄되었으며, 과거에는 다양한 국제선 노선이 운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보디아의 공항 - 프놈펜 국제공항
프놈펜 국제공항은 1953년 건설되어 캄보디아 내전 기간 군수 물자 수송에 사용되었으며, 1995년 시설 개선이 이루어졌고, 2018년 신규 공항 건설 계획 발표 후 국내선, 화물, 군용 및 VIP 항공편에 사용되며 다양한 항공편이 운항하고 있다. - 캄보디아의 공항 - 시아누크빌 국제공항
시아누크빌 국제공항은 1960년대 소련 지원으로 건설되어 내전 등으로 운영이 중단되었다가 2007년 재개장한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소재의 국제공항으로, 활주로 확장 후 4E급 항공기 수용이 가능해졌으나 추락사고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운항에 차질을 겪고 있다. - 공항 - 퀸스타운 공항
뉴질랜드 퀸스타운에 위치한 퀸스타운 공항은 1935년 운영 허가 후 상업 비행이 활성화되어 국내외 노선을 운항하며, 2018년 기준 뉴질랜드 내 4위 규모의 공항으로 성장했지만, 산악 지형으로 인한 기상 문제와 소음, 환경 문제에 대한 논란도 있다. - 공항 - 크라이스트처치 공항
크라이스트처치 공항은 1940년 개항하여 1950년 뉴질랜드 최초의 국제공항으로 지정된 뉴질랜드 남섬 크라이스트처치 소재의 국제공항으로, 단일 터미널에서 국내선과 국제선을 처리하며 남극 탐험의 주요 거점 역할도 한다.
시엠립 국제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현지 이름 | អាកាសយានដ្ឋានអន្តរជាតិសៀមរាប |
영어 이름 | Siem Reap International Airport |
IATA 코드 | REP |
ICAO 코드 | VDSR |
공항 종류 | 공용 |
소유주 | 캄보디아 에어포트 |
운영자 | VINCI Airports |
도시 | 씨엠립, 캄보디아 |
위치 | 해당 없음 |
개항 | 1932년 |
폐쇄 | 2023년 10월 15일 |
허브 공항 (2000–2008) | Siem Reap Airways |
고도 | 18m (60ft) |
웹사이트 | 씨엠립 국제공항 웹사이트 |
활주로 | |
활주로 번호 | 05/23 |
길이 | 2,550m (8,366ft) |
표면 | 콘크리트 (폐쇄됨) |
통계 (2022년) | |
여객 이동 | 372,000명 (증가) |
항공 화물 이동 (톤) | 해당 없음 |
항공기 이동 | 4,773회 (증가) |
2. 역사
시엠립 국제공항은 1932년 프랑스의 계획 및 감독 하에 건설되어 개항하였다.[29][6] 이후 2006년 공항 현대화 작업을 통해 새로운 터미널이 개장되었다.[29][6] 그러나 증가하는 공항 이용객과 세계 문화유산인 앙코르와트에 대한 소음, 진동, 공해 등의 우려로 인해[7][1][8][9] 2010년 새로운 공항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30][7][1][8][9] 결국 2023년 10월 16일, 신공항인 시엠립 앙코르 국제공항이 개항함에 따라 시엠립 국제공항의 운영은 공식적으로 종료되고 폐쇄되었다.[30][10][22]
2. 1. 초기 역사 (1932년 ~ 2006년)
1932년 프랑스의 계획 및 감독 하에 건설되어 개항하였다.[29][6] 공항은 시엠립 시내 중심부에서 북서쪽으로 7.5km, 앙코르 와트에서는 서쪽으로 5km 거리에 위치해 있었다.1998년에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으며, 앙코르 유적군으로의 관광객 증가와 함께 점차 확장되었다. 2005년에는 새로운 국제선 터미널이 개장하여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었고, 2006년에는 공항 현대화 작업이 진행되어 현대식 터미널이 개장하였다.[29][6]
앙코르 유적군 상공은 비행 금지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어, 항공기 운항 시 원칙적으로 남서쪽 활주로(05)를 통해 착륙하고 북동쪽 활주로(23)를 통해 이륙했다. 이는 여객기의 진동과 소음이 유적군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였으나, 여전히 우려는 존재했다.
2. 2. 현대화 및 확장 (2006년 ~ 2023년)
2006년, 공항 현대화 작업을 진행하여 현대식 터미널이 개장되었다.[29][6] 앙코르 유적군으로 향하는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공항 이용객도 늘어났지만, 이로 인해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앙코르 와트 상공은 비행 금지 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어 항공기 이착륙 방향이 제한되었고(원칙적으로 남서쪽 활주로(05)에서 착륙, 북동쪽 활주로(23)에서 이륙)[24], 여객기의 소음과 진동, 공해가 유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7][1][8][9]이러한 문제와 함께 늘어나는 교통량을 감당하고 유적을 보호하기 위해, 2010년에는 기존 공항을 대체할 새로운 공항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30][7][1][8][9][24] 신공항은 중국 자본으로 시내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약 50km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다.[25]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계획에 일부 차질이 있었으나,[10] 2023년 10월 16일 신공항인 시엠립 앙코르 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시엠립 국제공항은 운영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고 폐쇄되었다.[30][10][22]
2. 3. 신공항 이전 및 폐쇄 (2023년)
2010년, 증가하는 공항 이용객과 세계적인 유산인 앙코르와트의 훼손 우려 때문에 새로운 공항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7][1][8][9][24] 기존 공항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 공해가 앙코르 유적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중국 자본의 투자를 받아[25] 시엠립 시내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약 50km 떨어진 곳에 신공항 건설이 추진되었다.[7][1][8][9]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완공이 다소 지연되었으나,[10] 2023년 10월 16일, 새로운 시엠립 앙코르 국제공항이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30][10][22]
신공항이 개항하면서 기존의 시엠립 국제공항은 같은 날 운영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고 폐쇄되었다.[30][10][22]
3. 시설
공항은 시엠립 외곽, 국도 6호선 북쪽에서 6km 떨어져 있다.
3. 1. 터미널
2006년 8월 28일, 새로운 터미널이 개장했다.3. 2. 활주로
공항은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약 18.29m 높이에 위치해 있다. 활주로는 05/23으로 지정된 1개의 활주로가 있으며, 콘크리트 포장 면적은 2550m × 45m이다.[11][12] 앙코르 사원 상공의 비행 제한으로 인해 이륙 시에는 23번 활주로만 사용되었다.구분 | 길이 | 폭 | 비고 |
---|---|---|---|
활주로 | 2550m | 45m | 양쪽 어깨 폭 각 2.5m |
평행 유도로 | 240m | 20m | 어깨 폭 10m. 추가 공사 중인 유도로 1개 (길이: 600m, 폭: 25m, 어깨 폭 15m) |
계류장 | 10개소 |
항공 교통 관제는 CATS(캄보디아 항공 교통 서비스)에서 제공하며, 소방서와 국내선 터미널 사이에 있는 관제탑에 완전한 접근 및 비행장 VHF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13]
3. 3. 항공 교통 관제
항공 교통 관제는 CATS(캄보디아 항공 교통 서비스)에서 제공하며, 소방서와 국내선 터미널 사이에 있는 관제탑에 완전한 접근 및 비행장 VHF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13]CATS는 또한 앙코르 와트 근처, 3km 떨어진 "빅 벌룬" 부지에서 관광 헬리콥터의 이륙 및 착륙 허가를 담당한다. 헬리콥터 캄보디아와 소카 헬리콥터가 공항에서 운행하며, 소카는 주로 빅 옐로우 벌룬 부지에서 운행한다.
앙코르 사원 상공의 비행 제한으로 인해 이륙에는 23번 활주로만 사용되었다.
4. 운항 노선 (과거)
시엠립 국제공항은 폐쇄 이전 활발하게 운영될 당시, 현재(폐쇄 직전)보다 훨씬 다양한 국제선 및 국내선 노선을 보유하고 있었다.
과거에는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동남아시아 각국 등 아시아의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국제선 노선이 다수 운항되었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를 잇는 유럽 노선이 한시적으로 개설되기도 했다.[14][15][16]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스카이 앙코르 항공, 톤레사프 항공, JC 국제항공 등 캄보디아 국적 항공사뿐만 아니라, 에어부산, 에어서울,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말레이시아 항공, 베트남 항공, 싱가포르 항공(자회사 실크에어 포함) 등 다양한 외국 항공사들이 취항했었다.
캄보디아 국내선 노선도 활발히 운영되어,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스카이 앙코르 항공, JC 국제항공 등이 프놈펜, 시아누크빌 등 주요 도시를 연결했다.[18][19]
이러한 노선들은 여러 항공사의 신규 취항 및 단항, 코로나19 범유행과 같은 외부 요인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